아직 판매를 하고 있지는 않지만.. 차후 PRS시리즈를 기대하게 만든다.
다음 사진은 나의 킨들3
최근에는 전용 케이스도 입혔다.
뒤로 보이는 큼직한 기기는 킨들DX
그 밑에 깔린 파우치는 정품은 아니고 로지텍 파우치
정품 케이스는 리딩라이트 기등도 있다.
케이스 안에 따로 배터리가 들어가는 방식은 아니고
본체와 연결하는 부분을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는 점이 기발하다.
컬러 전자책도 빨랑 출시해주길.
뒤로 보이는 큼직한 기기는 킨들DX
그 밑에 깔린 파우치는 정품은 아니고 로지텍 파우치
정품 케이스는 리딩라이트 기등도 있다.
케이스 안에 따로 배터리가 들어가는 방식은 아니고
본체와 연결하는 부분을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는 점이 기발하다.
컬러 전자책도 빨랑 출시해주길.
방법 A. rss2mobi를 이용하는 법
다음 경로에서 rss2mobi를 다운로드 합니다.
https://github.com/ghewgill/rss2mobi
(rss2mobi.py이 파일의 수정일이 March 17, 2011 이렇게 나오는데
이건 제가 개발자한테 제보를 했는데 개발자가 이날 수정을 했습니다.
문제가 뭐였냐면.. 윈도우의 폴더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케릭터를 이용해서
폴더를 생성하려는 작업을 시도하는 관계로 프로그램 실행 중간에 에러를
뱉는 것이었는데 개발자 분도 윈도우에서는 돌려보지 않았다고 합니다.
프로그램 수정된 이후 제가 직접 실행해본 결과 이제 문제 없이 실행 잘됩니다.)
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는..
Python 3.1이상.
kindlegen
요 두 프로그램이 함께 필요합니다.
먼저 python은 현재 3.2까지 나와있습니다.
http://www.python.org/download/releases/3.2/
이곳에서 받습니다.
그리고 킨들젠은 아래 링크에서 받으면 됩니다.
http://www.amazon.com/gp/feature.html?ie=UTF8&docId=1000234621
윈도우 사용자는 'KindleGen for Windows'를 받으시면 되겠죠..
다른 OS를 이용한다면 맥이나 리눅스용도 있으니 활용하면 됩니다.
rss2mobi.config.example파일을 rss2mobi.config로 수정합니다.
rss2mobi.config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
'account': "xxxxxx@gmail.com",
'password': "xxxx123456",
'kindlegen': "c:\python32\kindlegen.exe",
}
딱봐도 감이 오실 겁니다.
구글 계정을 적습니다. 맨 위에 계정 주소
(이 계정의 구글 리더에 구독하는 RSS를 변환해서 가져옵니다.)
둘째줄에 패스워드
세째 줄에는 kindlegen.exe파일의 경로를 적습니다.
python.exe rss2mobi.py 이런식으로 실행해 주시면..
tmp폴더가 생성되면서 mobi파일이 생성됩니다.
그 파일을 킨들 연결해서 집어넣어 주시면 됩니다.
방법B. 킨들피더( http://kindlefeeder.com/ )를 이용하는 법.
사실 위에 방법 A는 많이 번거롭습니다.
파이썬을 공부하지 않는 사람들은 왜 파이썬을 설치해야하는지도 모르실겁니다.
물론 위의 py파일을 exe로 컴파일 해서 간편하게 구동할 수도 있겠지만.
여전히 번거롭기는 마찬가지일 거란 생각이 듭니다.
킨들피더 (http://kindlefeeder.com/)를 이용하면 이 작업이 쉽습니다.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에서 모두 처리가 되니까요..
일단 위의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시고..
유료회원 등록하라는 얘기 아닙니다.
(유로회원은 매년 20불이 필요하지만 제가 써본 결과는 굳이 20불을 지불할 필요는 없겠다..가 결론입니다. 그래도 킨들 헤비 유저라면 20불이 아깝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주 훌륭한 사이트입니다.)
위의 캡쳐화면에서 'send e-mail'만 누르면 킨들로 전송됩니다.
편리하죠?
유로사용(프리미엄 서비스)는 RSS를 12개 이상 구독가능합니다.
그 이하 사용자는 20불 내기 아깝겠죠?
그리고 킨들 딜리버리 이용없이 바로 프로세싱 & 다운로드됩니다.
고정도의 장점.
PS.
적어놓고 보면 제가쓰긴 했지만 언제나 불친절한 설명이 거슬립니다.
그러나 가치의 공유라는 측면에서 급하게 적더라도 적는게
홍익인간의 이념에 맞겠구나 싶어서 적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Kindle 3 Shortcuts: General
alt + shift + G = screenshot
alt + G = screen refresh
shift + alt + m = play minesweeper (from homescreen)
alt + home = Kindle Store
alt + top row of letters on keyboard = numbers 1-9
(: 키보드에 숫자 열이 없어서 숫자하나 넣자고 Sym키를 누를 필요는 없다. Alt+알패벳맨 윗열을 눌러줘라)
hit menu to check the time
hit menu on homescreen to see available memory
turn off kindle 3 by pressing and holding the power slide for 7 seconds
reset the kindle by pressing and holding the power slide for 15 seconds (restart is also in settings then menu)
change primary dictionary by going to settings then menu
Kindle 3 Hot Keys While Reading
alt + B = add and remove bookmarks
right arrow on nav controller = skip to next chapter
left arrow on nav controller = skip to previous chapter
Text-to-Speech
shift + Sym = Turn text to speech on and off
back turns off text to speech
spacebar pauses text to speech
set cursor down the page to start text to speech from there
Music Controls
alt + space = turn music on and off
alt + f = skip to next track
Kindle 3 Image Viewer
Like the earlier Kindles, the Kindle 3 has a hidden image viewer. It really doesn’t serve much purpose and doesn’t work all that great, but here are the steps needed to set up the Image Viewer if you want to try it.
Plug the Kindle 3 into your computer with the USB cable.
Open the Kindle 3 as if you were adding ebooks to it and create a new folder among the other folders, not inside one of the other folders, and name it “pictures”.
Inside the “pictures” folder, create another folder to add the images into. Adding images directly in the “pictures” folder will not work. You can create multiple folders to have different collections if you want.
Safely unplug the Kindle from your computer and then tap alt + z on the homescreen to add the newly created folders to the book list. Click on the folder and the Image Viewer will launch.
Image Viewer Functions
q = zoom in
w = zoom out
e = reset zoom
c = actual size
f = full-screen
r = rotate
nav controller = pan
page forward and back = cycle through images
덧붙여 적는 웹브라우저 접근 팁.
Spec-----------------------------------
내장 카메라(200만 화소), 내장 마이크,
3.5파이 헤드폰잭(일반 이어폰 잭을 말하는거임.)
리눅스 기반
8인치 화면 (해상도는 1024x768로 아이패드와 동일)
안티글래어, 흑백, 와콤 기술이 채용된 스타일러스 필기인식(256단계)
4GB 내장메모리
13.5시간 사용
---------------------------------------
대만-홍콩-독일-이탈리-러시아 등 발매 예정이며 미국과 중국은 내년 1분기에나 나온다고..!
어쩌면 아직은 쏟아진다는 표현이 이른지도 모르겠다.
국내 메이저 업체가 이미 뛰어든 시장이란 면에서 '곧 쏟아질거다'라고 타협된 표현을 사용할 수는 있을것 같다.
어쨌든 선택의 폭이 높아진다는 것은 소비자들에게는 즐거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전자책의 세가지 장점은,
"1)눈이 편하다. 2)눈이 편하다. 3)눈이편하다." 이다.
삼성에서 출시된 33만9천원짜리 전자책 파피루스는 ePub, TXT외에는 변환해야한다는 불편이 있다.
충분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았는지 벌써부터 ePub을 이용하는데 버그가 있다고 한다.
'삼성의 전자책 1세대니까'하고 용인하기엔 무책임한 면이 있다.
<Sony PRS300-RC>
5인치의 화면
512MB의 용량
7,500페이지를 볼 수 있는 배터리
(전자책은 페이지를 넘길때 전력이 소모되며 화면에 글씨를 표시하는것 자체로는 전력 소비가 없기 때문에 - 꺼놓아도 글씨는 유지되기 때문에- 배터리 성능을 이렇게 표시하는 것 같다.)
<PRS600-SC>
6인치의 화면(해상도는 800 x 600)
가상키보드
512MB의 용량
영어사전(아마 킨들DX의 것과 같은것이라고 어디선가 본듯하다)
배터리 성능은 PRS300과 동일
가격은 각각$199 and $299이다.
소니의 PRS 시리즈의 역사를 간단히 정리한다면, PRS-500이 있었고 PRS-505가 좀 더 완성된 버전으로 등장했으며 PRS-700이 작년에 등장하기도 했는데 몇가지 성능적인 개선은 있었으나 가독성면에서 PRS-505에 밀린다는 평가를 받으며 큰 주목은 받지 못했었다. 지금 등장하는 PRS-600은 505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생각하면 되겠고 PRS-300은 그것의 마이너버전 격이다.(그럼 중간에 낀 PRS-700은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다.)
다음은 아마존의 킨들 2세대와 3세대(DX)의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