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대행 업체들이 하나같이 오늘 공지사항을 띄워 아이패드의 배송대행이 불가함을 밝혔습니다.
업체명은 삭제했으나 아래의 업체들은 제가 생각하는 우리나라 메인 배송대행 업체들 입니다.


E사의 공지사항.




T사의 공지사항.



M사의 공지사항.
(참고로 M사는 가입 고객들에게 아이패드 배송대행 비용까지 직접 산정하여 친절하게 메일을 발송한 적이 있습니다.)



정리하면,

1. 관세청에서 통관을 전면 금지시켰고,
2. 6월부터나 들여올 수 있는 상황이며..
3. 현재 오더가 들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송이나 폐기의 절차가 필연적이다.


라는 얘깁니다.


아이패드가 국내에 풀린 물량은 추산 1000대 가량으로 추산하는 기사도 있었고
지난주였나 지지난주부터 온라인 쇼핑몰의 아이패드 판매가 전면 금지된 적이 있습니다.

파이낸셜 뉴스에서 다루었었군요..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0921957593&cDateYear=2010&cDateMonth=04&cDateDay=15

전파법이 아이패드와 같은 기기에 대해 엄정한 등록 절차를 적용하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불법 기기의 무차별적 유입을 막고 각종 사고를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이유에서 수입이 금지되는 군요.

다만 ‘구매자도 처벌한다’는 법 원칙이 그대로 적용돼 실제 처벌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어제 뉴스토마토의 기사에서는 더 심한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http://news.etomato.com/news/etomato_news_read.asp?no=89412

엄단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일제 단속에 들어갔다.................................
불법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아 이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두산의 박용만 회장과 가수 구준엽씨 등은 ............해외에서 개인적으로 구매한 아이패드를 최근 소개하기도 했다.
박 회장의 경우 ... 배송받은 박스를 뜯는 모습을 .... 올.해.바.뀐. 정부의 '선인증 후통관' 절차를 지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기사의 뉘양스가 상당히 거칠어서 이 기사를 읽고서는 아이패드를 직접 들여오겠다는 생각이 안들을 정돕니다.

오늘 나온 케이벤치의 기사는 뉴스토마토보다는 약하지만 여기서도 단속 이야기가 나옵니다.
http://www.kbench.com/digital/?no=83489&sc=1


기기 하나의 파장으로 관세청 & 정통부가 나서서 막는 모습.... 관련기사가 꼬리를 물고 재생산 되는 모습은 이례적입니다.
마치 작년의 아이폰 떡밥시절을 연상케 합니다. 아이폰의 파급효과과 아이패드로 이어질 것을 걱정하는 것 같기도 하며
정식으로 발매되기 전에 잠재고객들을 잃을까봐 미리 막는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아이폰은 KT가 독점으로 들여왔지만 이번 아이패드는 SKT도 가세한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정부가 나서서 아이패드 반입을 금지시킨 것은 이스라엘의 소식 이후 이후 처음입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41872211

이스라엘 세관당국은 텔아비브 공항에서 관광객들로부터 이미 10여대의 아이패드를 압수했다.

(이정도면 우리나라보다 더 심하다고 보여지는데요.)
그런데 그 이유를 들어보면 이스라엘의 경우는 수긍이 가는것이.. 아이패드가
이스라엘이나 유럽에서 허용하는 전파 규격보다 더 강한 표준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상황은 잘 모르겠지만 제가 아는 와이파이는 적어도 한국에서라면 상식적으로 안전합니다.
수많은 노트북, 스마트폰 모두 802.11a/b/g/n라는 규격을 사용하며 아이패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아마 우리나라 이후엔 이렇게 정부차원에서 막는 나라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아이폰은 통신사가 개통을 차단하니까 원천봉쇄가 가능했지만 아이패드는 이렇게 막지 않으면 안되나 봅니다.


결국, 본 사건으로 알 수 있는 아주 분명한 사실 하나는
아이패드는 법으로 안막으면 막히질 않는 대박 아이템이라는 점입니다.

그나저나 검색해보니 한국에 정식으로 들어오지도 않은 아이패드가
벌써부터 관련 사이트가 다수 등장했습니다.

아이패드코리아 : http://ipadkorea.kr/
아이패드스토어 : http://cafe.naver.com/ipadstore/
아이패드매니아 : http://www.ipad-mania.net/index.php

그리고 아이패드를 위해 제가 만든 한글 입력 사이트인
한패드닷컴 까지도 말입니다. http://www.hanpad.com

Posted by Ozahir
,



앞서 소개해드린 아이패드용 한글 키보드, 한패드(http://hanpad.com/)가 더 개념있어졌다.
키보드를 외우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컨닝키보드 추가!(아래 그림 참고!!)


한패드의 업데이트는 계속될 것이다.



+1
성급하지만 영문자판과 함께 보여주는 컨닝키보드에 대한 요청으로 아래와 같이 수정해서 교체했습니다.
어째 좀 난잡한 감은 있네요. 추후에는 보여지는 키보드를 몇가지 옵션을 넣어서 선택할 수 있게 하겠습니다.
시간이 충분치 않아서 급한대로 당분간은 이렇게 두겠습니다.

Posted by Ozahir
,


한국의 킨들이라 할 수 있는 누트가 이번엔 벌써 3세대다.



<누트3 제품사양>

Model

NUUT3 (NP-603W)

Display

6 inch Vizplex Imaging Film

Resolution

167dpi / 600*800 pixels

Grey Scale

16 grey scale levels

CPU

667 MHz ARM 11

Internal Storage

1GB

Expanded Storage

SD card(SDHC upto 32GB)

Battery

1800mAh

Connectivity

USB 2.0 device, Wireless LAN

Audio

0.7w Speaker, 3.5mm Earphone jack

Size

176(H)*131.5(W)*10.5(T)mm

Weight

245g battery included

Key definition

Power on-off-hold, Reset, 5way navigation, 4 functional hot-key, Pre/Next key, Volume up & down

Applications

Adobe Reader MobileTM, Neolux’s news viewer, Image viewer,

Audio player, Neolux’s workbook viewer, Dictionary

Supported format

ePUB, PDF, TXT, NZN(news format), NWB(workbook format), JPEG, GIF, BMP, PNG, MP3, Wave

이제품의 장점은 일단 가볍고(245g, 이정도면 휴대폰의 약 두배정도) 군더더기가 빠져있으며(키보드 생략)
호환성이 좋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자책 포맷은 모두 지원하는 아주 개념있는 넘이다.
30만원 혹은 40만원에 육박했던 전자책 가격이 22만9천원에 출시되었으니 가격이 많이 착해졌다.
(치열해질 전자책 시장과 아이패드라는 넘사벽 디바이스의 영향으로 보인다.)

4월 30일 발매되며, 판매처는 누트북닷컴(www.nuutbook.com)이다.

Posted by Ozahir
,


아이패드와 그의 친구들이 모였습니다.
하나씩 볼까요?


케이스입니다.
한시품절되기도 했다네요.
슬릭하다는 표현을 여기다 붙여도 될 지 모르겠습니다.


아이패드는 뒷모습이 매력입니다.
(개봉기 동영상은 http://ozahir.com/943 에서 볼 수 있어요.)


아이패드 전용 도크라지요.
적당한 무게감에 희고 깨끗한 돌을 가공해 만든듯한 질감이 역시 애플입니다.


두께가 얼마랬나요? 스펙상의 두께를 실감못하게 만드는 절묘한 곡선 처리가 일품입니다.




도크의 바닥..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재질.. 깨끗한 지우개를 연상케합니다.


케이스에 들어간 아이패드입니다.
적당한 각도로 눕힐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세울 수도 있는데.. 아직 케이스가 몸이 덜풀려서 어색합니다.



케이스 넣는 방법을 소개하지요.

1. 일단 아래와 같이 밀어넣어요. 그럼 귀가 생겨요...길쭉한 귀(..라고 불러도 될까요?)


2. 당연하겠지만 귀를 밀어넣아여 합니다. (그렇긴 하지만 안넣어도 큰 불편은 없을거 같네요.)


3. 귀를 밀어넣은 말끔해진 사진입니다.
   (덩달아 아이패드에 비친 제 모습도 보이는군요.)


개봉기 끝이어요.

(담엔 사용기 올리겠습니다.)
Posted by Ozahir
,



아이패드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한패드 1.1이 나왔습니다.
이번엔 한글변환 결과를 가지고 바로 검색엔진을 통해서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dkdlvoem gksrmf 처럼 입력하면
한글 변환 부분에 "아이패드 한글"이라고 변환된 결과가 나타나게 되구요.
이 변환 결과를 Copy & Paste로 이용하거나..
또는 이를 검색어로 네이버, 다음, 구글의 검색엔진으로 바로 전송해서
 검색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위의 화면에서 '네이버 검색'을 누르면
 


'다음 검색'을 누르면




'구글 검색'을 누르면..


이렇게 바로 검색 결과를 볼 수 있어요!

한패드.. 많은 이용 & 새기능 건의 바랍니다.

Posted by Ozahir
,





아래 영상을 참고삼아 거칠게 열어보려 했으나
다시보니 내가 많이 밀리는 느낌.. (연륜은 어쩔 수 없나보다!)


(아래 영상은.. 감명깊게 본 두산 박용만 회장의 아이패드 개봉기)



자세한 리뷰를 쓰고싶지만 아직 많이 못써봐서 찬찬히 올리겠습니다!
(그나저나 이것 참 듣던대로 물건이네요..)

Posted by Ozahir
,


아이패드에서 한글 입력이 불편해서 직접 정보를 찾다가 유용한 정보를 발견, 실행에 옮겼습니다.
가만 생각해보니 주소도 좀 편리했으면 해 www.hanpad.com 라는 주소를 연결해두었습니다.
이렇게 해두면 저만 편리한것이 아니라 아이패드의 모든 초기 이용자에게 유용할 것 같았습니다.
따라서 아이패드에서 한글입력을 하려면 이젠 위의 주소로 접속하면됩니다.


위의 화면은 www.hanpad.com 에 접속해 직접 한글을 입력하는 모습을 캡쳐한 것입니다.
아래는 세로로 전환한 사진.


위처럼 선택해서 copy and paste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기본 키보드에 간단한 아이디어를 덧붙여 기능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몇가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
뭔가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을 알려주시면 건의해주세요. 
적극 반영해 드리겠습니다.

++
"코드를 공개해주신 클리앙의 나이샤님 감사합니다."
Posted by Ozahir
,


아이폰 웹페이지 이것만 알아도 유용하다.
<head></head>사이에 아래의 한줄을 집어넣어보자.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user-scalable=0;" /> 

위의 한줄을 집어넣음으로써 아이폰의 해상도에 적절하게 화면이 표시될 것이다.
간단한 내용이지만 한부분씩 살펴보겠다.

width=device-width;
이부분은 영문 그대로 웹페이지의 너비를 기기의 너비대로 보여주라는 얘기다.
아이폰은 320 x 480의 해상도를 갖고 있으므로 320px에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initial-scale=1.0;
초기화면 로딩시 몇배로 보이게 할 것인가를 지정해주는 부분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1.0으로 지정하면 1배로 보이게 된다.

maximum-scale=1.0;  1배 까지 확대가능. 즉, 확대 불가를 의미한다.
아이폰은 멀티터치를 이용해서 화면을 맘대로 키우거나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웹사이트가 멀티터치로 화면크기 조절이 안되는걸 볼 수 있는데
이는 바로 이 옵션이 1로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maximum-scale=10.0; 이렇게 지정하면 10배까지 확대가 가능해진다.

user-scalable=0; 이부분은 멀티터치를 확용한 확대를 허용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부분이다. 위에서 maximum-scale의 숫자를 키우면 해당 숫자 배수까지
화면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user-scalable가 0으로 되어있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반대로 user-scalable가 1이 적용되어 확대조절을 허용하더라도
maximum-scale이 1.0으로 되어있으면 화면 확대가 안된다.

 

아래에 예제 하나를 제시한다.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0; user-scalable=1;" />

 위의 예제의 설정은 웹페이지를

1) 아이폰 화면에 맞추며,
2) 처음 크기는 1배로,
3) 그러나 10배까지 키울 수 있다.


아이폰을 위한 웹페이지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이지만, 응용해서 좋은 웹사이트를 제작하시길 바랍니다.

Posted by Ozahir
,




(전략..)13일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달 말 예고없이 삼성전자 경기 수원사업장에 있는 무선사업부와 소프트웨어(SW) 및 디자인 개발 부서를 직접 찾아 "어느 스마트폰보다 더 강력한 스마트폰을 만들어 달라"며 직원들을 격려했다
..중략..

실제로 삼성전자는 올 들어 모바일 콘텐츠 개발과 SW 관련 인력을 집중 보강하고 있다. 삼성전자 MSC의 연구개발 인력은 올해 600명 이상 늘어나고 개발비도 지난해 1300억원에서 올해는 2배 이상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올 들어 벌써 100여명 넘는 개발자들을 채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후략)

기사의 원문 :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0921955395&cDateYear=2010&cDateMonth=04&cDateDay=13

위의 사진은 아이패드를 발표하는 키노트에서 스티브잡스가 열거했던 기업들인데 스티브 잡스는 소니보다 삼성보다 노키아보다 우월한 세계 1위 모바일 기기 업체라고 단언했다. (이 영상을 보면서 캡쳐해둔 사진이라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지만 대략 그런 정도로 얘기했다.) 애플은 아이팟과 아이폰을 연속 히트시킨 히트메이커이자 아직 출시되지도 않은 아이패드에 사람들을 집중시켰다. 아이폰 발매날 한국에서도 거의 모든 일간지에서 아이패드를 다뤘다. 한국이 이정도였고 미국은 더 난리였다.
아이패드를 써본 사람들은 아이패드는 미래에서 왔다고 극찬했다. 아이패드를 혹평했던 언론과 블로거들도 일단 손에 잡은 아이패드를 가지고 아이패드에 대한 태도를 180도로 바꿨다.

한국에서의 아이폰 열풍은 식을 줄을 모른다. 지난 주말만해도 내 주변 아이폰 사용자가 2명이나 더 늘었다. 아이폰은 네트웍 효과가 휴대폰보다 강하다. 아이폰끼리의 가치가 있어서 아이폰을 갖고 있는 사람은 바로 전도사가 된다. 내 주위사람들도 결코 비용이 적지않게 들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정말 사길 잘했다는 반응들을 보인다. 비용보다 효용이 더 큰 기기인 것이다. 

한국 통신시장이 흥선대원군 밑에서 쇄국 정책을 펴고 있을때, 아이폰은 열려있었다. 의식이 깨어있었고 앱스토어를 열었고 판매비용의 70%를 인센티브로 걸며 개발자들을 장려했다. 어메리칸 드림을 꿈꾸듯 수많은 개발자들이 '앱스토어 드림'을 꿈꾸며 도전했고 상상을 뛰어넘는 어플들이 쏟아졌다. 그리고 그것은 아이폰의 든든한 백그라운드가 되었다. 

아이폰의 신화는 아이패드로 이어진다. 뛰어난 개발자들은 아직은 비어있는 아이패드 어플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고분분투한다. 똑같은 신화가 아이패드로 이어지길 기대하면서 .. 모두 가장 빠른 사람이 위대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말이다. 이런식의 경영이 뒷받침되니 갈수록 강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하드웨어만 괴물이지 소프트웨어는 1.0도 제대로 나오지 않았다. 아이폰은 벌써 4.0이다. 이 마당에 베타테스터를 자청할 사람은 얼마나 될지 미지수다. 

앱스토어에서 가장빠른 사람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듯 앱스토어는 가장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 위대한 개발자들이 개발한 위대한 어플들은 아이패드조차 미래에서 온 기기로 만들어 놓았다. 

이건희는 조급하다. 선조가 반도체로 일궈놓은 기업이 휴대폰과 LCD로 이어졌다지만 그 다음은.....?
아.....시간이 없다. 서둘러야 한다. 더 늦기전에..

Posted by Ozahir
,


블랙베리 볼드 9700가 국내에 들어온다.
아이폰펀치에 맞은  SK의 두번째 반격! 지난 모토로이 반격은 예상보다 훨씬 약했다.
이번엔 블랙베리..(저변이 약하긴 했지만 들어와 있긴 했다.)

아이폰 사용자이지만 이번 펀치는 어쩐지 좀 아플 것만같다.

 

4월 21일 런칭쇼!
Posted by Ozahi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