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텍 치고는 저렴한 제품이 나왔다.


블루투스가 아니란 점도 맘에든다.
현재 7만원 이하에 구입가능.

키보드를 거친환경에서 사용할때면 Hold스위치가 있었으면 좋겠다 싶었는데
이건 뭐.. 키보드 마우스 둘다 ON-OFF스위치가 달려있다고 하니.
Hold보다 더 좋은 생각 같다. 일단 이제품은 무선이니까 배터리 관리를 수동으로 할 수 있다는 얘기

예전에 로지텍 프리랜서를 13~14만원에 구입했다가 배터리를 너무 많이 먹고 밤에도 안꺼지고 불빛이 반짝반짝해서 불만이었던 적이 있었는데 그런 불편은 없을것 같다.

참고로 리시버는 초소형 뭐 이런건 아니고 보통 USB메모리와 비슷한 크기이다.
너무 작아도 불편하니까. 이것도 이만하면 됐다.
PC사랑 12월호에 보면 이 제품이 소개가 되있는데, 글쓴이 얘기론 마우스 뒤에 리시버 수납기능이 없어서 아쉽다고 한다. 그러나 이건 뭐 키보드 마우스 다 딸려 있는 모델인데 갖고 다닐일이 얼마나 있을까? 그냥 놓고 쓰는 제품일텐데...


Posted by Ozahir
,


뉴스기사로 접했다. 이런 불황에도 잘팔리는 제품들은 다음의 것들이 있다.
이들 제품들의 가격을 나란히 제시한다.

-햅틱2(휴대폰) - 신규 70만원선/ 번호이동 61만원선/ 보상판매 81만원선/ 약정할인 19만원선
http://shopping.naver.com/detail/detail.nhn?where=all&query=%C7%DD%C6%BD2&cat_id=00110000&nv_mid=4142822387&frm=nv_product

+1줄 코멘트
: DMB, 500만 화소의 카메라, 블루투스 등 왠만한건 다된다지만 솔찍히 너무 비싸다.

-NC10(넷북) - 78만원
ODD옵션과 하드 용량 등에 따라서 다른 몇가지 모델이 있지만 제일 잘 팔리는 모델 기준이다.
http://shopping.naver.com/detail/detail.nhn?cat_id=01100100&nv_mid=4142766013&first_cat_id=01
+1줄 코멘트
: 이제품 없어서 못판다던데 가격이 더 저렴한 넷북인 HP의 mini9제품도 같이 고려해보시라.

-루믹스LX3(파나소닉 디카) - 정품 61만원/ 병행수입 71만원
http://shopping.naver.com/detail/detail.nhn?cat_id=00040109&nv_mid=4133049430&first_cat_id=00
+1줄 코멘트
: 너무 비싸긴 하지만 컴팩트 디카의 궁극이다. 내가 생각하는 현존 최고의 컴팩트디카이며, 이제품이 잘팔린다는 것은 그만큼 소비자 안목이 높아졌다는 반증이 아닐까?

아래 제품들도 언급되고 있지만 백색가전은 내가 잘 모르는 분야이므로 가격만 제시하고 패스한다.

-클라쎄 김치냉장고 - 51만6천
http://shopping.naver.com/detail/detail.nhn?cat_id=00010906&nv_mid=4143514585&first_cat_id=00
-디오스 김치냉장고 - 50만 9천 600원
http://shopping.naver.com/detail/detail.nhn?cat_id=00010903&nv_mid=4148014594&first_cat_id=00
-디오스 와인셀러 - 143만원
http://shopping.naver.com/detail/detail.nhn?cat_id=00010804&nv_mid=1000195801&first_cat_id=00
-트롬 안심케어 세탁기 - 69만원

<참고>
"불황을 모르는 제품엔 뭔가 특별한 게 있다."라는 패러디성 제목의 기사.
http://cynews.cyworld.com/Service/news/ShellView.asp?ArticleID=2008113019254520138&LinkID=789

Posted by Ozahir
,


환율이 많이 올라서 수입제품들이 많이 비싸졌지만 그림의 떡이래도 좋다.
구입은 미룰지언정 멋진 기기들을 바라보는 것은 흡족한 일이다.

첫번째, Bose companion3 series II 스피커이다.
사실 이제품. 보스라는 이름값 빼면 남는게 없을거라 생각했다.
이 제품을 거론하는 이유는 몇주전에 직접 체험할 기회가 있었기 때문이다.
어느 영문학과 교수실에 찾아가서 영화를 본적이 있었는데(어디까지나 수업의 연장으로)
교수님이 이제품을 쓰고 계신 것.
왜 보스제품 사는데 돈을 낭비하셨을까?하는 선입견을 갖고 있었다. 영화가 재생되기 전까진.
저 작은 스피커에서 그런 공간감이 뿜어져 나올진 몰랐던 것이다.
말로 설명하긴 어렵지만 이게 보통 PC스피커가 아닌 것이었다.
더 기특한 사실은 사운드카드가 스피커에 내장되어있기 때문에 USB만 꽂아주면 복잡한 설정없이 소리를 낸다는 사실이다. 가상으로 5채널을 만들어준다는데 자세한 얘기는 접어두고도 확실한 공간감을 얻을 수 있었다.


아래 사진은 그보다 더 좋은 Bose companion 5이다.
보스 스피커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다가 이것이 위의 C3보다 상위기종이라는 사실을 알았는데 비싼값을 한다고들 한다. 위의 C3가 40만원, 이 C5는 59만원이다. 약 20만원의 차이가 나지만.. 얼마나 좋은소리를 낼지 궁금하다. 돈있으면 사고싶다.


개인적으로는 위의 우퍼딸린 2.1보다 아래와 같은 단순 2채널이 더 끌린다. 공간적으로 낭비도 없을뿐더러 위성스피커가 더 믿음직스럽다. 우퍼가 없지만 위의 제품보다 더 비싼 62만원이다. 사용기를 읽어보면 C5가 더 만족스럽다는 평이 많으니 실제 구입때는 갈등이 좀 될 것만 같다.


Bose의 Quiet Comfort3제품. 이것은 헤드폰이다. QC시리즈는 노이즈캔슬링이라는 기능이 부합되어 외부의 일정한 잡음을 상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비행기를 탈때나 기차를 탈때 유용하다고 한다. 그동안 나, 노이즈캔슬링에 관심많았다. 약 10년전쯤 고등학생 신분으로 10만원에 달하는 소니의 노이즈캔슬링 1세대 제품을 사서 사용한 적이 있으나 당시 제품은 기대를 충족시켜주지 못했다. 어느새 시간이 흘러 소니에서는 작년엔가? 99%차단이 가능한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내놓았으니 이 Bose의 QC3도 노이즈캔슬링으로보면 이미 낡았다. 이제 QC4를 내놓아야 할 시점.. 그러나 보스 헤드폰의 가치는 아웃도어에서 빛을 발한다. 휴대하기 편하고 귀에 착용할때 편하다고 한다. 보스 전시관에서 청음한 적은 있으나.. 가격대비 성능을 감안해서 구입은 미뤘다. 요 조그만 헤드폰이 57만원이다. 그러므로 내가 갖고 있는 소니의 스튜디오용 헤드폰 MDR-7506을 네 개쯤 구입할 수 있다는 얘긴데.. 이런거 따지면 절대 구입할 수 없는 헤드폰이다.


너무 보스제품만 띄워주는 것 같아서 이번엔 소니의 녹음기이다. PCM-D50 이것은 그냥 MP3플레이어에 딸려있는 녹음기의 성능을 한참 오버한다. 나도 직접 사용해 본것은 아니고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샘플파일을 들어보았다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보이스레코더에서 발견되는 잡은따위는 발견할 수 조차 없다. 이 녹음기 상단의 2개의 마이크가 보이는가? 이 마이크의 각도를 조절하여 녹취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최적의 세팅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요 아래 보이는 가죽케이스와 털달린 바람막이(?)같은 부가 옵션을 선택하면 값은 더 뛰겠지만 기본셋으로 64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그래도 이건 참 다행인 것이다. D50의 이전모델은 이 가격의 3~4배쯤 했다고 하니 그래도 소니가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가격을 현실화(!)한 것이니..

예산이 빠듯해서 이 D50제품이 아닌 다른 보이스레코더를 구입해야 한다면, 소니의 제품중 ICD-UX시리즈는 별로 권해주고 싶지 않다. 구입했다가 반품한 기억이 있는데 그냥 평범한 MP3에 딸린 녹음기능을 쓰는게 더 현명하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돈을 더 써서 ICD-SX시리즈를 권한다. UX보다 몇만원 더 비싼 대신에 보이스레코더 다운 성능을 발휘해 줄것이다. 512MB의 SX68이 16만원, SX78은 20만원, SX88은 26만원 선이다. 또 요즘엔 소니에서 저가형 ICD-P시리즈도 나오던데 이건 안써봐서 잘 모르겠다.


이번엔 마우스 로지텍 V550나노이다. USB 포트에 쏙들어가는 리시버에 디자인 한번 심플하다. 가격은 6만4천원으로 마우스치고는 싸지가 않다.

아래보이는 것은 로지텍의 VXnano 인데, 6만원대 하는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환율의 원인으로 그보다 비싼 8만8천원선에 구입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의 마우스이다. 나온지 좀 지나긴 했지만 아직 궁극이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본 제품들은 상대적으로 싸지 않은 제품들을 나열한 감이 있는데, 아래 리플미니익스트림은 상대적으로 싸다. 27만원 짜리 베어본인데, 여기에 CPU, 램, HDD만 부착하면 본체가 완성되는 심플함에 그 가치가 있다. 그리고 실제로 보면 앙증맞은 본체 크기에 더 놀라게 된다. 세컨PC로 사용하기에 좋을듯하지만, 세컨PC를 돌린다는것 자체가 돈이 드는 일이므로, 우선 여기 포스팅해 놓는다. 기다려라.

Posted by Ozahir
,


결론적으로 역시 Google.com으로 연결됩니다.
오타가 나더라도 자신의 웹사이트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구글에서 도메인을 구입해서 조치를 해놓은것 같습니다.

다음넷의 경우를 예로 들더라도
Daum.net 대신에 Duam.net이라고 적어도 daum.net이 연결됩니다.
그러나 이경우에는 창이 하나가 더 뜨는데, 이를 보건데 이 도메인은 다음이 소유하고 있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자기네 홈페이지에 유입인구를 늘리기 위해서 duam.net이라는 오타도메인을 구입하고 이것을 자기네 홈페이지만 띄우기 미안하니까 Daum.net도 같이 띄워주는 것 같습니다.

다른 홈페이지로 연결시켜주는 이런 기능을 포워딩이라고 합니다.
또다른 예로 지그 현재 저는 ozahir.net을 사용하고 있지만,
ozahir.com을 적더라도 ozahir.net을 띄우며 주소창에도 ozahir.net을 표시합니다.
이 경우 역시도 ozahir.com을 ozahir.net으로 포워딩을 해놓았기 때문입니다.

'오자히르'라는 파울로코엘료의 소설이 있는데 ozahir.com은 본래 이 소설을 위한 웹사이트로 연결시켜주는 도메인이었습니다. 이 소설이 처음 등장하고 몇년간은 이 도메인을 구입하려 해도 구입이 안되어서 .net을 구입했던 것인데 얼마전에 확인한 결과로는 이 도메인의 소유주가 사라졌습니다. 오자히르라는 책에 대한 프로모션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았나봅니다. 얼른 주워담아서 제 블로그로 '포워딩' 하였습니다.
지금은 .net을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을 .com을 메인으로 하는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사용에 큰 차이는 없겠지만 '닷컴'이 주는 인상이 여전히 강하기 때문입니다.

Posted by Ozahir
,



 
커뮤터카(Commuter cars)라는 미국의 벤처 전기 자동차메이커가 탱고(Tango)라는 전기자동차를 발표했는데요.
제로백이 무려 포르쉐보다도 빠른 4초대라고 합니다. 물론 최고속도를 기준으로는 탱고가 더 느릴테지만요.

참고로 제로백이라는 말은 정시한 시점부터 가속하기 시작해서 시속 100km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말하자면 가속이 얼마나 빠르게 되느냐 하는 건데요. 5초 이하의 제로백을 가지고 있다면 "정말 빠르네"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360kg의 중량을 가지고 있고 저중심설계로 인해 납작한 이상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넘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량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것 같아요. 우리나라에서도 곧 전기차를 타고 다닐 날이 올 것 같습니다.
Posted by Ozahir
,


Industry analyst firm IDC recently issued a report warning the personal computer market will "slow down sharply" over the next quarter and into 2009.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주로 하드웨어 쪽 불황이 예상되지만 스토리지쪽은 예외입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부문은 여전한 성장세가 있을거라고 하네요.

원문 : http://www.dailytech.com/IDC++IT+Spending+Slowdown+in+2009/article13444.htm

Posted by Ozahir
,


웹의 미래를 연구하는 한 사람이다.
작년에 파프리카랩을 창업했으며, 몇몇 서비스를 런칭했다.
한국내의 서비스보다는 더 좋은 시장을 찾아다니는 것 같다.
다음은 김동신 대표의 강의 동영상이다.
보면서 느낀것은 그는 의욕적이고, 도전적이고, 분석적이고, 천재적이라는 사실!!



자신은 http://dotty.org 을 운영한다.
지난 여름에 이 회사의 존재를 알게 되었는데, 몇 년 뒤에는 정말 큰 회사가 되어있을지도 모르겠다.
이분도 주된 관심은 SNS인것 같은데..
SNS다음엔 뭐가 있을까?? SNS가 웹의 최종점일까? 아니면 그 다음에도 뭐가 있을까.
잘 상상이 가질 않는다.

Posted by Ozahir
,


플래시겟에 대해서 포스팅한게 벌써 1년도 더 지난일인데 아직 그 글을 읽으러 들어오시더군요.
검색엔진에 아직 상위권에 물려있나봅니다. 플래시겟홈페이지에 찾아가보니 새로운 버전이 나와있어서
새롭게 포스팅합니다.


최신버전 :


클래식버전 :

간략한 업데이트 역사를 살펴보면..

1.73부터 swf파일(플래시파일) 다운로드 지원
1.80부터 비트토랜트 지원
1.81 WMV MP3 RM detection기능
1.82 드랍존의 모양개선, 파일크기에 따라 파일유닛 변화
1.84 eMule과 ed2k지원
이후 1.96까지는 디스크 읽기/쓰기 최적화와 BT(비트토랜트)최적화

이정도 입니다.
그리 엄청난 변화는 없으며 BT필요 유무에 따라서 클래식을 받을지 최신버전을 받을지 결정하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Version History 원문입니다.
플래시겟 홈페이지는 http://www.flashget.com 으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FlashGet Version 1.9.6(2007.09.25)
*Add "FlashGet Recommends"
*Optimized the BT module
*Fixed the messy code in "new download" window
*Other improvements

FlashGet Version 1.9.4(2007.09.11)
*Optimized the HTTP module;
*Optimized the emule dispatching;
*Fixed some minor UI bugs;
*Other improvements

FlashGet Version 1.9.2 (2007.07.23)
Optimized the multi-thread dispatching
Optimized the capability of disc read/ write when downloading
Fixed the bug in certain situation that it has no traffic in Drop Zone
Fixed the bug that FlashGet crashed when setting category properties
Fixed a bug in the category management
Fixed few minor UI bugs

FlashGet Version 1.9.0 (2007.06.29)
* No MAX jobs limit for BT Torrent file
* Fixed bug in certain situation that popped up Add New Download window when clicking on torrent file
* Fixed bug regarding category management that could create categories which enabled not to conform Windows name criteria
* Fixed bug regarding category management that enabled to create same categories
* Fixed bug that called FlashGet when closing eMule module and clicking eMule link
* Other improvements

FlashGet Version 1.8.8 (2007.06.15)
* Fixed the bug to restore download window when opening Torrent seeds
* Fixed the bug that errors occur when opening certain Torrents
* Fixed the bug that application exits automatically when downloading some eMule jobs
* Fix the bug that the upnp function for eMule module causes application freezing when  startup
* Shortcut(ctrl+v) for search toolbar
* Updated Flash detection feature
* Other improvements

FlashGet Version 1.8.6 (2007.05.29)
*Fixed that eMule module pretends to crash with certain firewalls
*Fixed the bug that FlashGet does not monitor ed2k link after default installation
*Fixed the bug that unreadable codes occur when read/write file name in certain situation
*Fixed the bug of repeatedly popping up New job window in certain situation

FlashGet Version 1.8.4 (2007.05.16)
+Added exceptions report: exceptions report will be prompt to send to debugrpt{at}flashget.com
+Improved search toolbar
+Support eMule/ed2k
*Changed version format: MainVersion.MinorVersion.PatchVersion.ReleaseTimes
*Fixed some minor UI bugs

FlashGet Version 1.82.1004 (2007.04.28)
* Improved the feature of Download All with FlashGet
* Some minor improvements

FlashGet Version 1.82.1003 (2007.04.16)
* Modified the database saving directory
* Fixed few UI bugs
* Some minor improvements

FlashGet Version 1.82.1002 (2007.04.02)
* Provide two modes(simple and advanced) for Add New Job Window
* Add the feature of filtering the invalid Bit Torrent file
* Change the prompt sound for finished download

* Fix the bug of setting download directory on BT job window
* Add the option of opening the file after download finished
* Other bug fixed

FlashGet Version 1.82.1001 (2007.3.20)
New Feature for V1.82.1001
* Beautify dropzone
* New icons
* Re-arrange the main menu
* Add TAB display in graph/log window
* Modify some text on main window
* Optimize the Option Interface
* Add user customized startup
* Add download proceeding graph display
* Automatically switch file unit according to its size
* Remove the graph speed display on tool bar
* Disable the popup window after download job finishs
* Disable the customized double click on single job
* Press F1 to get online help
* Remove 'search' and 'paste url' in menu

Bug fixed list for V1.81.1002
* Remove Saving Recent Database
* Remove the FlashGet toolbar to IE

FlashGet Version 1.81.1002 (2007.1.30)
New Feature for V1.81.1002
1.Enable to increase/decrease threads when disabling mirrors download
2.Optimize download flow and 99% download problem

Bug fixed list for V1.81.1002
1.program is likely to lose response or crash when downloading multi-files
2.graph/log window can not be refreshed after resuming broken download
3. Show 99% problem in dropzone after downloaded
4. Disk read/write errors in some situation

FlashGet Version 1.81 (2007.1.15)
New Feature for V1.81
1. To optimize download experience after 99% download
2. To support WMV MP3 RM detection
3. To optimize BT download and support protocol encryption
4. To support flashget:// protocol

Bug fixed list for V1.81
1. To fix Repeating of Finished Download
2. To fix No Response of FlashGet V1.80 After Finished Download
3. To fix BHO Crashes on IE7、WIN2003、Vista
4. Other bug fixed

FlashGet Version 1.80 (2006.12)
New Feature for V1.80
1. To optimize the download speed after 99% download

Bug Fixed List for V1.80
1. To fix the bug of the crash of BHO with Vista 2003

FlashGet Version 1.80 beta 3 (2006.12)
1.To make "Close search toolbar" as default setting
2.To fix the bug "Check the Downloaded BT File Completely"
3.Other bugs fixed

FlashGet Version 1.80 beta 2 (2006.12)
New Feature for V1.80 Beta2
1. To optimize the module of Multi- server & Hyper-thread Transportation (MHT), this increases the download speed 3-6 times than the old version
2. To optimize Cache: HTTP download speed increased 30% again
3. To optimize the download monitor for browser
4. To add the feature of making torrent file.
5. To add “Check the Downloaded BT File Completely”
6. To add “Set FlashGet as the Default Download Manager for Internet Explorer”

Bug Fixed List for V1.80 Beta2
1. Unstable BT download speed
2. the problems of that torrent files don’t show on BT interface, peers that has been connected, and health, etc
3. Website button can not activate FlashGet
4. Obvious fluctuation for BT download speed
5. Invalid BT setting and download speed limit
6. BHO crashes occasionally,
7. FlashGet crashes when downloading few files
8. Dynamic Hyper Links can not be downloaded for it is impossible for Flashget to take over them ,
9. It is impossible to disable the association for BT torrent file
10. The database transform error from V1.73 to V1.80 causes FlashGet crash
11. Its impossible to drag and drop torrent file
12. Speed display on main window beyond the region
13. the cache setting value: to increase the value of cache setting, the maximum value is 512M
14. Few invalid downloaded file.

FlashGet Version 1.80 beta 1 (2006.11)
+ BitTorrent files download support
+ Compatible with Vista
* speed up the http download
* new interface
* bug fixed

FlashGet Version 1.73 (2006.9)
* support flash(swf) file download
* add a search toolbar
* bug fixed

FlashGet Version 1.72 (2006.5)
* All free !!! * Context menu add to Opera 8.x
* some fine changes
* bug fixed

FlashGet Version 1.71 (2005.8)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70 (2005.8)
* Improve shareurl service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65 (2004.8)
* Support filesize over 4GB
TIP: How your disk is formatted can limit file sizes too: FAT limit is 2GB, FAT32 limit is 4GB, NTFS is unlimited.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60a (2004.5)
* re-active shareurl service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60 (2004.4)
* Support RTSP protocol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50 (2004.2)
* Support MMS protocol
* Support command line (flashget.exe [url] [save directory])
[Save directory] is optional. if exist flashget will not popup job's properties dialog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40 (2002.11)
* Support Https protocol
* Export&Import proxy list
* FlashGet Skin Designer(?View More information?)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31 (2002.10.9)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3 (2002.5.27)
* Download subdirectories from ftp
* Support individual proxy for each connections
* Move downloaded files when category's directory changed
* reuse ftp connections
* delete item from list when download completed
* Grid of joblist window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2 (2002.3.18)
* FlashGet is shareware now, not include any ad system
* ShareURL.com--mirror service for FlashGet
* Support Skin
* Get additional/update language pack automatic
* support switch focus when press TAB key
* New toolbar icon
* improve FlashGet IE bar
* Number of retries of Site Explorer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FlashGet Version 1.1 (2002.1.17)
* Site Properties(Max connections, Login information, Proxy)
* FlashGet IE Bar(IE menu->View->Toolbars->FlashGet Bar)
* improve speed limit(support manual and automatic mode)
* Auto switch to active mode if site not support passive mode(ftp protocol)
* optimize for wild band
* improve download databse save,backup and restore
* some small changes
* general fixes

Posted by Ozahir
,


한국 메신저 시장에서 MSN은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SN메신저를 고수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봤을때 부동의 메신저 1위는 MSN이 분명하기 때문에
외국인들과의 대화를 한다거나 유학 떠난 친구들 친지들과의 대화가 필요한 경우엔
여전히 MSN을 쓰고 있는듯 하다.

그동안 MSN메신저는 지금의 8.5버전에 이르기까지 덩치를 상당히 키웠다.
기능많고 세련되긴하지만 이제는 MSN메신저를 설치하는것도 참 성가신 일이 되어버렸다.
메신저만 설치하고 싶은데 MSN.co.kr에 들어가서 설치파일을 받아 실행하면.
윈도우를 업데이트 해야한다는 핑계로 그 로딩시간이 오래도 걸리는 윈도우 업데이트 페이지로 이동.
시간을 죽인다. 여기서 윈도우를 업데이트하면 그다음엔 메신저를 설치하기 위한 파일들을 받기 시작..
설치하는데 무슨 과정이 이렇게 복잡한지.
하드 포맷하고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면 메신저 깔기가 싫어진다.
급하게 MSN메신저를 이용해야 한다면 언제 이런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있으랴..

거기에 대한 대안이 있었으니.. 바로 아래의 프로그램 들이다.
USB에 담아가지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이용하려면 Minimsn을 추천한다.
설치해서 쓰겠다면 Regnessem을 설치해서 쓰도록!
로그인 할때는 기존의 계정 그대로 이용해서 로그인할 수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MSN과 완전히 같지는 않다. 몇몇기능들이 빠진다.
그러나 급하게 MSN을 이용해야 한다면.. 이들 프로그램이 굉장히 유용할 것이다.

일본에서 개발된 Regnessem 이것은 설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굉장히 가볍다.(리소스를 적게 쓴다는 얘기)

한국에서 개발된 미니MSN(이것은 설치도 필요없고 그냥 실행만 해주면 로그인 바로 해서 쓸 수 있다는 장점)

Posted by Ozahir
,


경제학을 통해서 배웠던 가장 유용한 이론은 바로 기회비용과 매몰비용이었다.
이 두가지 이론은 현명한 선택과 행동을 이끌어 내는데 도움을 준다.

시간을 아껴써라 .. 이것은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이미 투입된 시간에 대해서 끌려다니지 말라. 그것은 이미 매몰비용이었을 뿐이다.

Posted by Ozahir
,